ROE란 당기순이익 / 자본총계 (자산-부채) 기업의 수익성을 나타내는 지표의 하나로서, 주주가 갖고 있는 지분에 대한 이익의 창출 정도를 나타내며 총자산을 가지고 얼마만큼의 이익을 만들어가는지에 대한 수치를 말하는 것이다.
A1
ROE 특징
당기순이익이 높아지면 높게 나올 수가 있으며 또한 자본총계가 낮아지면 높아지게 나올 수 있다. 매출 상승효과로 당기순이익이 높아져서 올라간다면 정상적인 ROE의 특징이지만 반대로 내부적으로 비용절감을 해서 높아질 수 있다.
- 구조조정으로 인해서 올라가는 경우
- 원자재 절감으로 올라가는 경우
- 기업 자산을 팔아서 올라가는 경우
매출 상승으로 인해서 당기순이익이 올라가는 것이 아니면 ROE의 수치는 정상적으로 볼 수 없기만 ROE가 높다고 맹목적으로 좋은 기업으로 판단하는 기준을 가지면 안 되며 연간, 분기 실적의 ROE으로 통해 비교 분석해야 한다. 자본총계 (자산-부채) 자산을 낮추면 ROE의 수치를 높일 수 있다. 기업들은 합법적으로 배당이라는 것으로 자산을 낮추는 방법이 있기에 주의해야 하지만 기업을 유지하는데 너무나 많은 수익이 생길 시에는 배당을 올리면서 ROE를 높일 수 있다
ROE 수치로 기업을 찾는 방법은 아래 해당사항을 보고 비교 분석해서 확인하면 좋은 기업인지 알 수 있다. ROE는 낮아지기 쉽고 낮은 ROE는 높아지기 쉽다. ROE의 증가속도는 주가의 상승 속도와 상당한 관계과 있음을 알아야 한다.
- ROE 수치는 높은 것으로 찾는다.
- 매출 증가되는 것을 연간, 분기로 비교해서 좋은 기업을 찾는다.
- 배당이 낮은 기업을 찾는다.
재무제표를 보는 실력이 곧 저평가된 기업을 찾는 비결이 되며 ROE는 주주를 위한 지표이고 투자와 경영 두 가지 관점에서 볼 수 있는 만큼 기업 가치를 평가해서 보는 재무제표로 가장 좋다고 할 수 있다.
A2
'주식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공매도 재개일, 대차잔고증가 종목 확인 (0) | 2021.05.02 |
---|---|
공매도 위기에는 배당금 높은 주식이 안전자산 (0) | 2021.05.01 |
주식 기초용어 (우선주, 배당금) (0) | 2021.04.30 |
주식 기초용어 멀티플 (EPS, PER, PBR) (0) | 2021.04.29 |
위런버핏 명언속에 주식투자를 배운다 (0) | 2021.04.29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