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식 기초용어 중에 멀티플은 성장주의 키워드로 가치평가에 기준이 되고 있다. 멀티플은 EPS×PER(배수)라고 주식 기초용어이며 (EPS, PER, PBR)를 알아야 한다
A1
EPS (주당순이익)
EPS는 Earning Per Share의 약어로 주당순이익이라고 표현하며 기업이 어느 정도 이익이 창출되고 있는지 판단하는 재무제표 중에 하나이다. EPS=당기순이익/발행주식수이며 당기순이익은 기업이 1년 동안 벌어들인 총매출에서 비용과 세금을 뺀 순수 이익을 말하며 1주당 이익을 얼마나 창출되었는지를 나타내는 재무제표이다. 주당순이익은 이익이 많으면 올라가고, 증자를 통해 주식수가 늘어나면 낮아지게 된다
PER (주가 수익비율)
PER는 Price Earning Ratio의 약어로 주가 수익비율이라고 표현하며 기업의 주가가 기업에 벌어들이는 수익 대비 몇 배에 거래되고 있는지 알 수 있는 재무제표이며 1주당 수익의 몇 배가 되는가를 나타내는 것이다. PER=주가/주당순이익(EPS)이며 낮으면 주당순이익에 비해 낮다는 것이고 높으면 주당순이익에 비해 높다는 것이다.
- A기업 주가가 10만 원이며 주당순이익이 1만 원이면 PER=10
- B기업 주가가 10만 원이며 주당순이익이 2만 원이며 PER=5
PBR (주가를 주당순자산가치로 나눈 값)
PBR는 Price Bookvalue Ratio의 약어로 주가가 한 주당 몇 배에 거래되고 보여주는 지표로 한 주당 순자산을 나눈 값이다. 순자산은 이익잉여금, 자본금, 자본잉여금의 합이며 보통 총자산에서 부채를 차감한 금액이다. 주가가 순자산에 비해 몇 배로 거래가 되는 것을 볼 수 있는 재무제표이다.
- PBR이 1.0일 때 기업 순자산 100만 원이면 100만 원에 거래되는 것을 말하는 것이다
멀티플
멀티플은 PER, PBR을 높게 평가한다면 미래 성장성이 있다고 보는 것이고, 반대로 낮게 평가한다면 미래성장성이 낮다고 보는 것으로 생각할 수가 있다. 하지만 전반적으로 보는 방식이 이러한것이지 이것이 절대적으로 맞는것이 아니니 재무제표를 볼때 참고하면 좋을 결과를 가질수 있을것이다.
A2
'주식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주식 기초용어 (ROE 자기자본이익률) (0) | 2021.05.01 |
---|---|
주식 기초용어 (우선주, 배당금) (0) | 2021.04.30 |
위런버핏 명언속에 주식투자를 배운다 (0) | 2021.04.29 |
공매도의 뜻을 정확히 이해하자 (0) | 2021.04.29 |
공매도 종합주가지수 하락장 탈출 방법 (0) | 2021.04.28 |
댓글